애착 유형 중 불안형 애착 유형인 사람을 만나고 있다면, 이들의 연애 방식과 특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이 궁극적으로 왜 불안해하는지를 살펴 좀 더 안정적인 연애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1. 불안형 애착유형의 연애
회피형 특징과 그들의 유년시절
애착 유형 중 관계 맺는 일을 극도로 꺼리는 회피형 유형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의 유년 시절은 어땠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그들이 자주 하는 말에 대한 진짜 의미에 대해 알아보면
mindjju.com
사랑 앞에서만 유독 작아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누가 봐도 부러운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연애만 했다고 하면 이상하게 저자세의 사랑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 모습은 애착 유형 중 불안형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이들은 사랑이 깊어지거나 관계가 깊어질수록 좌불안석의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나 불안형이 회피형의 연인이라도 만나게 된다면, 긴장되는 모습은 눈에 띄게 늘게 됩니다. 회피형 연인이 거리를 두고 싶어 차갑고 까칠한 모습을 보이기라도 한다면 다급해진 말투나 연락에 집착하는 모습, 긴장한 표정 등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자책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는데요. 사랑을 시작하게 되면 이별부터 생각하고 행복한 순간조차 연인이 떠나는 순간을 계속 상상하면서 스스로 불안을 끌어당기고 두려운 마음을 만들어냅니다. 그러면서 '나는 성격도 나쁘고 매력도 없는데 집착까지 하고 있다니'라며 자신을 스스로 비난하기도 합니다. 이런 지나친 두려움에 휩싸여 쓸데없는 눈치를 보고 상대방에게 집착하니, 본인은 물론 상대방의 마음마저 지치게 만듭니다. 이들은 보통 오랜 만남을 유지하는 데 어려운 모습을 보이는데요. 이렇게 만남과 이별을 반복하며 관계에 있어서 공포와 불안을 더욱 가속합니다. 불안형을 만나고 있다면, 그들을 논리정연하게 설득하는 모습이나 옳고 그름을 따지는 시도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저 그들의 말을 가만히 들어주고 공감하는 시간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2. 친절함으로 표출되는 불안함
나는 왜 자주 상처받을까?
사람은 누구나 사랑받고 싶어 하고,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 합니다. 이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런 마음이 지나치게 되면, 자기 판단보다는 다른 사람의 생각에 맞춰 행동을 결정하기
mindjju.com
불안형 애착유형의 사람은 겉으로 보기엔 매사에 요구사항이 많고, 무엇이든지 만족하지 못하지 못한 것처럼 보입니다. 자존감도 약하고 끊임없이 타인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들은 관계를 지키고자 엄청난 노력을 하며, 친절한 마음으로 남을 도와주려는 착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계에 있어서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키는 노력을 하느라 대개 높은 스트레스 수치를 보입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의 관심과 애정을 얻고자 부단히 노력하며 세심한 공을 들입니다. 그들을 잃을까 봐 너무나 두렵기 때문입니다. 걸핏하면 감정이나 관계에 대해 대화하고 싶어 하고 상대방이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하는지 알고 싶어 합니다.
상대방이 무엇을 원하는지 눈치껏 알아차리고 자진해서 자기를 맞추면서, 정작 자기가 원하는 건 뒤로 미룹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자립성이나 자율성은 포기하게 됩니다. 이들은 대개 너무 급하고 빨라서 일을 그르치곤 하며, 단시간에 사랑에 빠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른 사람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고 싶어 하면서 정작 상대방이 공감할만한 충분한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불안형인 사람들에게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성 중 하나는 자주 미안해하고 거절을 잘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직장에서 이 유형의 사람들은 누군가 도와달라고 부탁하면 거절하지 못해서 결국 업무량이 많아 고생하기도 합니다. 상사의 말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며 고민하기도 하며, 업무를 완벽하게 하려고 야근까지 마다하지 않습니다.
3. 그들이 불안하고 두려운 이유
예민한 성격, 고칠 수 있을까요?
'예민함‘이라는 감정은 잘 조절할 줄만 안다면 오히려 좋은 점이 될 수 있습니다. 예민한 사람의 특징과 인간관계를 살펴보고, 어떻게 감정을 조절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예민한 사람
mindjju.com
이들은 어쩌다가 이렇게 불안해하는 사람이 되었을까요? 불안형 애착 유형은 유년기에 회피형과 공통적인 경험을 하게 됩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관심을 기울이다가도, 기분에 따라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일관되지 않는 육아 방식 말입니다. 하지만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회피형이 부모에게 애정이나 관심을 더 이상 원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는 데 반해, 불안형에는 오히려 적극적인 애착을 불러일으킵니다. '나에게 아무도 관심이 없구나.'라는 두려움은 애정을 받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 과장된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살짝 넘어졌는데도 큰 소리를 내며 운다던가 별것 아닌 일에도 관심을 받기 위해 무진장 애를 쓰는 것입니다.
또 다른 원인은 어릴 때 가정 내 불화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아이들은 가정에서 좋지 않은 일이 생기면 우선 자책부터 하게 됩니다. '내가 잘못해서 엄마 아빠가 다투는 건가 봐.' 혹은 '나를 키우느라 집이 가난해졌나 보다.'라는 식으로 말입니다. 부모는 가정에 변화가 생기거나 싸움을 하게 되는 경우, 아이들에게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말을 하지 않거나 모르는 척해도 아이는 사실 모두 알고 있습니다. 비밀에 부치는 순간 아이는 자신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 것이라고 생각을 굳히게 되고 자책하게 됩니다. 불안형의 핵심은 자책과 공포입니다. 특히 헤어짐이나 이별에 대한 공포는 현실에 집중하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현실은 생각보다 따뜻하며, 위로하는 사람도 많다는 사실을 반복적으로 인식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상처는 과거입니다. 세상의 모든 걱정은 미래에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안정을 경험하다 보면 세상은 평화롭다는 느낌이 들고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만큼의 우려할 만한 일은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마음상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정형 애착유형 되는 방법 (0) | 2023.02.06 |
---|---|
혼합형 불안정 유형과 양가성 애착유형 (0) | 2023.02.05 |
회피형 애착유형 특징, 자주하는 말의 의미 (0) | 2023.02.03 |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심리학 용어 4가지 (0) | 2023.02.02 |
나르시시스트 특징과 원인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