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스트 특징과 원인
본문 바로가기
마음상태

나르시시스트 특징과 원인

by 마인드쭈 2023. 2. 1.

나르시시스트, 자기애성 성격장애

나르시시스트는 일명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불리기도 합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 이야기로부터 유래된 나르시시즘 용어에 대해 살펴보고, 특징과 원인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1. 나르시시스트의 정의와 어원

 

함부로 말하는 사람에게 우아하게 대응하기

일명 다혈질의 사람이나 공격적인 사람과 잘 지내기 위해서는 우선 그들에 대해 잘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화를 잘 내는 사람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그들에게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는 방법

mindjju.com

나르시시스트는 성격장애의 일종으로, 일명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기애가 매우 높고 자기중심적 성격이나 행동을 가진 사람을 말합니다. 또한 자신이 가진 객관적인 능력보다 훨씬 더 자기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인정욕구도 강해 다른 사람의 비판이나 판단에 쉽게 상처 받고, 일반 사람보다 더 예민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감 넘치고 카리스마 있는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어서 겉으로 봤을 때 자기애성 성격장애라고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방어기제의 종류와 해결 방법

방어기제는 개인이 겪는 불안과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감정과 상황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심리적 과정입니다. 방어기제를 사용했다고 스스로 인지하지 못할 만큼 무의식적으로 일어납니다. 방

mindjju.com

어원에 대해서도 살펴보자면, 나르시시스트는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에서 나온 말입니다.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잘생긴 그리스 청년 '나르키소스' 이야기로부터 유래됩니다. 자기가 너무나 잘생겼다고 자만하며 모든 이의 관심과 사랑을 거부한 미소년 나르키소스는 물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몇 날 며칠을 식음을 전폐하고 물웅덩이만 바라보다 물에 비친 자기를 잡겠다고 물에 뛰어들어 결국에는 죽고 맙니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나르키소스는 겉으로 보면 자신을 사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실제로는 완벽하게 만들어진 자신의 '이미지'를 사랑한다는 것입니다. 나르시시스트는 겉으로 보기에 자기자신을 매우 사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신이든 타인이든 실제로는 사랑을 할 수 없는 사람입니다. 나르키소스 일화는 나르시시스트의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일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특징

반응형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겪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0.5~2.5%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나르시시스트로 불리는 사람들의 숫자는 공식적인 숫자보다 훨씬 더 많을 것입니다. 자신이 완벽하다고 믿는 자기애성 성격장애 환자 특성상 자기가 이상하다고 믿지도 않거니와, 비전문가들이 보기에 피상적인 관계에서는 이 특성을 알아차리는 것은 대부분 불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지금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 본인 스스로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혹은 내가 아는 그가 자기애성 성격장애인지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사소한 일에도 쉽게 화가 난다면?

화가 날 때는 이성적 사고를 할 수 없습니다. 화가 나는 이유에 관해 알아보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상황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다섯 가지 요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화가 나

mindjju.com

우선,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사람은 자신이 매우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는 다르게 특별한 대우를 받기를 원하거나, 자신이 기대하는 부분에 있어서 타인이 쉽게 순응하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본인이 가진 능력이나 성취에 대해서 과장하거나 자신이 매우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매우 특별해서 그에 상응하는 특별한 사람만이 이 문제를 이해하거나 해결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가끔 건방진 행동이나 오만한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성공이나 권력, 아름다움과 이상적인 사랑 등의 공상에 자주 빠져 있습니다. 강렬하게 질투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반대로 타인이 자기 자신을 질투한다고 믿기도 합니다. 타인에 대해서는 대부분 관심이 없는 모습을 보이거나 쓸데없는 감정이입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유 없이 타인을 비난하거나 괴롭히거나 깎아내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목적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는 것에 있어 미안하거나 고마운 감정보다는 당연한 태도를 보입니다. 그리고 과도한 믿음이나 신뢰, 복종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3.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원인

 

회피형 특징과 그들의 유년시절

애착 유형 중 관계 맺는 일을 극도로 꺼리는 회피형 유형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의 유년 시절은 어땠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그들이 자주 하는 말에 대한 진짜 의미에 대해 알아보면

mindjju.com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사실 자존감이 굉장히 낮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자존감의 안정성이 낮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좋을 때는 정말 하늘 높은 줄 모르게 치솟다가 사소한 타격이라도 받으면 밑바닥까지 감정이 곤두박질친다는 것입니다. 일반인도 이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라면, 이 모든 것이 정말 단시간에 극단적으로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존감이 극도로 떨어지는 것을 막고자 자신이 우월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힙니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자존감 형성에 가장 중요한 어린 시절에 양육자인 부모의 적절한 보살핌이나 공감을 받지 못하고 학대받아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아니면 오히려 외모나 지능에 대해 과대평가를 받으며 오냐오냐 자란 경우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성장 과정에서 과대평가가 계속해서 내재화되면, 사소한 비판이나 거절에 예민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자존심이나 자존감이 위협받는다고 판단되어 쉽게 분노하게 되는 것이죠. 확률적으로 형제 없이 자란 남자에게 더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

댓글